
샤또 디쌍
샤또 디쌍(Chateau d'issan, Grand Cru Classe,3rd Cru )은 1855년에 등급분류에서 특3등급을 받은 마고 A.O.C중에 우수한 포도원이다. 또한 이포도원은 메독에서 가장 오래된것중 하나이고 그 역사는 영국에 의해 지배되었던 15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샤또 디쌍은 (Ch. d';isson)은 메를로의 사용이 상당히 특이하며, 특색있는 맛이 왕과 신들이 마시기에 적당한 와인이다. 뽀이약 지역이나 마고 지역에서 흔히 사용하는 메를로 품종의 양보다 적은 블랜딩 비율을 사용하여, 섬세함을 겸비한 힘이 있는 맛으로 현대인들의 미각을 자극하고 있다. 마고의 다른 와인들과 달리 까베르네 쇼비뇽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맛의 구조가 단단하고 입안을 가득 채우는 묵직하고 다소 둔탁한 맛을 가진 와인이 생산되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Read more
“까베르네 소비뇽은 남성적인 품종이고, 메를로는 여성적인 품종이다”.
여러 와인 책에서 이런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50%만 정답이라고 생각이 되는데 이유는 까베르네 소비뇽은 분명 남성적인 품종입니다. 그러나 메를로 또한 남성적인 품종입니다.
차이점은 까베르네 소비뇽은 힘있고 강한 진짜 남자 같은 남자이고 메를로는 꽃미남 같은 여성적이고 부드러운 면이 있는 소위 말해서 요즘 먹히는 스타일의 남자라고 생각이 됩니다.
까베르네 소비뇽을 두고 ‘레드와인의 왕’, ‘가장 잘 판매되는 레드 와인’ 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나라뿐 아니라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레드 품종입니다.
프랑스 뿐만 아니라 이태리, 칠레, 미국, 호주 그리고 중국에서도 까베르네 소비뇽으로 와인을 만드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의외로 단순합니다.
1. 까베르네 소비뇽으로 만든 와인은 맛있다.
2. 당연히 소비자들이 찾는다.
3. 그래서 와인 생산자들이 까베르네 소비뇽으로 와인을 만든다.
4. 그러니까 판매가 잘 된다.
까베르네 소비뇽은 어떤 맛과 향이 날까?
탄닌(떫은 맛)이 강하고 신맛 또한 강하다. 바디감(입안에서 느끼는 와인의 무게감)이 강합니다.
영할 때는 블랙커런트(까시스), 잘 익은 검붉은 과일, 피망 향을 지니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시가, 커피, 초코렛 등의 향이 느껴지며 초기에는 떫은 맛과 신맛이 강하나 숙성이 되면 떫은 맛과 신맛이 약해지고 여러 가지 맛과 향이 복합적으로 잘 어울어져 우아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시고 떫은 맛이 강한 터프하고 묵직한 레드와인을 만드는 품종
포이약이 '전통적인' 레드 보르도의 요새로 여겨진다면 마고는 보르도에서 가장 관능적이고 매혹적인 와인을 생산하는 다른 측면을 대표합니다. 마고는 메독(Medoc)에서 가장 큰 마을로 오메독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르도 시에서 가장 가까운 중요한 코뮌입니다. 토양은 메독에서 가장 가볍고 자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일부 토양에는 높은 비율의 모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깡뜨냑(Cantenac)과 마고(Margaux)에 위치한 포도원은 배수가 잘되는 경사면에 위치한 최고의 포도원 부지와 함께 아펠라시옹의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물에서 멀어질수록 점토 함량이 높아지고 와인의 향이 덜합니다. 메독 그랑크루 클라세 중 그 유명한 샤또 마고(Chateau Margaux)가 1등급을 차지하고 있고, 2등급 5개, 3등급 10개, 4등급 3개, 5등급 2개 총 21개 그랑크뤼 샤또가 있습니다. 샤또 마고와 쌍벽을 이루는 샤또 빨메(Chateau Palmer)는 3등급입니다.
Read more